그림으로 배우는 클라우드 인프라와 API의 구조-3
·
Tech/Cloud
3장 클라우드를 제어하는 API의 동작 방식 3.1. 클라우드와 API의 관계 1) API :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 어떤 SW에서 다른 SW를 제어하기 위해 미리 약속된 인터페이스나 규약을 의미한다. 제어하려는 SW의 내부 구조를 자세히 모르더라도 그 SW를 사용 가능 하게한다. 2) 인터넷 서비스와 웹 API, 클라우드 컴퓨팅 : 웹 프로토콜(http/https)을 사용해서 네트워크를 통해 호출하는 API를 웹 API라고 하며 Ajax 등 웹 기술이 발전하면서 인터넷 서비스 기업들이 웹 API를 공개하는 흐름이 이어졌다. 현재는 기업이 자사의 서비스를 시장에 확산 시키고 경쟁의 우위를 선점하기 위해서라도 API를 공개하려는 환경이 만들어지고 있다. -> 아마존은 컴퓨..
그림으로 배우는 클라우드 인프라와 API의 구조-2
·
Tech/Cloud
2장 클라우드의 대표적인 컴포넌트 2.1 클라우드 환경의 전체 그림 테넌트(tenant), 리전(region), 가용영역(availavility) 1) 테넌트 : 계정. 같은 테넌트에 속한 가상 네트워크, 가상 머신, 인스턴스, 가상 스토리지들끼리만 서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어떤 단위로 테넌트를 관리할 것인지 정의해야 한다. 대부분 프로젝트 한 팀이 하나의 테넌트를 만들고 그 팀에서 개발하는 시스템을 모아 같은 테넌트에 넣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때 가상 네트워크 기능을 사용해 시스템 별 독립 네트워크 세그먼트를 분할하기도 한다. *cf) 시스템 별 테넌트를 정의하는 것도 가능하나 한 팀에서 여러 시스템 개발 시 분리된 여러 테넌트에 접속해야 한다. 2) 리전 : 여러개의 클라우드 인프라를 분산 운영..
그림으로 배우는 클라우드 인프라와 API의 구조-1
·
Tech/Cloud
1장 클라우드 컴퓨팅과 API의 역할 1.1 클라우드 컴퓨팅 "누가 사용하는가" 와 "무엇을 제공하는가"의 관점으로 분류 1) 누가 사용하는가 - 특정 기업 내부 사용자(private cloud) - 여러 기업의 사용자가 모두 (public cloud) 2) 무엇을 제공하는가 - 어플리케이션 (최종 사용자가 바로 사용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나 서비스) -> SaaS (SW as a Service - 개발 및 운영 환경 (개발자가 어플리케이션 개발할 수 있는 환경 : OS, 미들웨어) -> PaaS (Patform as a Service) - 가상화된 시스템 인프라 (관리자가 시스템 구축하거나 운영할 수 있는 환경 ) ->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단, Iaas 위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