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으로 배우는 클라우드 인프라와 API의 구조-1

2021. 4. 5. 23:29·Tech/Cloud

1장 클라우드 컴퓨팅과 API의 역할

1.1 클라우드 컴퓨팅

"누가 사용하는가" 와 "무엇을 제공하는가"의 관점으로 분류

 

  1) 누가 사용하는가

   - 특정 기업 내부 사용자(private cloud)

   - 여러 기업의 사용자가 모두 (public cloud)

 

  2) 무엇을 제공하는가

   - 어플리케이션 (최종 사용자가 바로 사용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나 서비스) -> SaaS (SW as a Service

   - 개발 및 운영 환경 (개발자가 어플리케이션 개발할 수 있는 환경 : OS, 미들웨어) -> PaaS (Patform as a Service)

   - 가상화된 시스템 인프라 (관리자가 시스템 구축하거나 운영할 수 있는 환경 ) ->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단, Iaas 위에 Paas가, Paas 위에 Saas가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SaaS는 테넌트 별로 어플리케이션 기능만을 제공하며 된다. 인프라 자체를 반드시 가상화할 필요는 없다.  하지만, IaaS는 테넌트 별로 인프라 기능을 제공해야 하며, 서버, 네트워크와 같은 인프라 리소스들을 물리적 환경과 독립된 가상화된 형태로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1.2 클라우드가 실현하는 인프라의 표준화 

가상화, 추상화, 자동화

 

 1) IaaS형 클라우드에서 보이는 것은 표준화된 리소스로 물리적 장비의 설정 방법이나 기능 차이를 의식하지 않아도 된다. 가상 라우터나 가상 스위치 같은 가상 네트워크 장비의 경우, 실제로는 물리적인 네트워크 장비가 존재하고 그 위에 네트워크를 <가상화>하기 위한 SW가 동작하는 방식으로 구현되어 있다. 

 

 2) 시스템 구성 컴포넌트의 <추상화>로 시스템 구축 과정의 표준화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가상 머신에 오가는 네트워크 패킷을 필터링 해야한다면, 물리 환경일 때에는 방화벽 장치 설정에 "특정 서버의 특정 패킷을 통제"하는 규칙을 정의해야 하나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물리적인 방화벽 장치를 의식하지 않고도 필터링 규칙을 정의해 '시큐리티 그룹'을 만든 다음 규칙이 필요한 서버에 적용시키면 된다. 마치 가상 머신 앞에 새 방화벽을 설치해 필터링 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3) 시스템 구축 과정의 표준화함으로서 구축 과정 또한 API를 사용해 <자동화>할 수 있다.

'Tech > Cloud'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림으로 배우는 클라우드 인프라와 API의 구조-3  (0) 2021.04.08
그림으로 배우는 클라우드 인프라와 API의 구조-2  (0) 2021.04.07
'Tech/Cloud'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그림으로 배우는 클라우드 인프라와 API의 구조-3
  • 그림으로 배우는 클라우드 인프라와 API의 구조-2
sooomni
sooomni
  • sooomni
    Dev Log
    sooomni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20)
      • Tech (20)
        • TIL (2)
        • Worklog (4)
        • DB (4)
        • Docker (6)
        • Cloud (3)
        • 책 리뷰 (0)
        • 이펙티브자바 (1)
      • 이직기 (0)
  •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링크

  • 공지사항

  • 인기 글

  • 태그

    SQL
    cloud
    NoSQL
  • 최근 댓글

  • 최근 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sooomni
그림으로 배우는 클라우드 인프라와 API의 구조-1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