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커 파일로 이미지 생성
- Dockerfile -> 도커 클라이언트 -> 도커 서버 -> 이미지
- Alpine 이미지 (시작시 실행 명령어 ?? 파일스냅샷 ..)
- 임시 컨테이너 생성 - 시작시 실행 명령어 아직 없고 하드 디스크에 파일 시스템 스냅샷 추가
- 임시 컨테이너 - 시작 시 실행할 명령어 추가
- Alpine 이미지 생성 - 이미지 ID
- Dockerfile -> 도커 클라이언트 -> 도커 서버 -> 이미지
- 도커 이미지에 이름 부여 ( -t 옵션)
- docker build ./
- docker build -t sm/hello ./
- 도커아이디/저장소 or 프로젝트이름 : 버전
- docker build -f Dockerfile.dev ./ (-f 옵션 사용해 도커파일 이름 지정도 가능)
본 내용은 인프런 강의 ‘따라하면서 배우는 도커와 CI환경’ 을 듣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Tech > Dock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ction 7. 간단한 어플을 실제로 배포해보기 (개발 환경 부분) (0) | 2022.01.02 |
---|---|
Section 6. Docker Compose (0) | 2022.01.02 |
Section 5. 도커를 이용한 간단한 Node.js 어플 만들기 (0) | 2022.01.02 |
Section 3. 기본적인 도커 클라이언트 명령어 알아보기 (0) | 2022.01.02 |
Section2. 도커 기본 (0) | 2022.01.02 |